Link Search Menu Expand Document

SQL Table Join

Table of contents

  1. JOIN
    1. Cartesian Product
    2. ANSI JOIN
  2. EQUI JOIN
    1. EQUI JOIN Syntax
    2. EQUI JOIN with AND
    3. Alias Rules
    4. JOIN ~ ON
    5. EQUI JOIN Multiple Tables
  3. NON-EQUI JOIN
    1. EQUI JOIN Syntax
    2. NON-EQUI JOIN Multiple Tables
  4. SELF JOIN
  5. OUTER JOIN
    1. LEFT OUTER JOIN
    2. RIGHT OUTER JOIN
    3. FULL JOIN
  6. Example

JOIN

조인은 여러 테이블에 저장된 테이블을 한번에 조회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

Cartesian Product

카디시안 곱

▸ 조인 조건을 생략 한 경우 행의 모든 조합을 표시하는 카디시안 곱이 생성

▸ 조인 결과가 의미를 가지려면 조인할 때 조건을 지정해야 함

select * from emp, dept; 

ANSI JOIN

EQUI JOIN, NON-EQUI JOIN, OUTER JOIN, SELF JOIN등을 오라클 9i부터는 ANSI 표준 SQL 조인 구문으로 제공해 줌

▸ ANSI 표준 SQL 조인 구문은 현재 대부분의 사용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표준 언어로 ANSI(미국 표준 연구소) SQL 에서 제시한 표준 기능을 준수하고 있음

▸ 다른 DBSM와 호환이 가능하기 때문에 잘 알아둬야 함


EQUI JOIN

EQUI JOIN Syntax

조인 대상 테이블에서 공통 칼럼을 = 비교를 통해 같은 값을 가지는 행을 연결하여 결과를 생성하는 조인 방법

▸ 여러 테이블의 데이터를 질의하는 방법은 WHERE 절을 이용하는 것

▸ 가장 많이 사용되는 JOIN

▸ 칼럼명이 같으면 혼란이 오기 때문에 칼럼명 앞에 테이블 명을 기술해야 함 (중복되지 않았다면 테이블 명을 기술하지 않아도 됨)

syntax

select table1.column, table2.column

from table1, table2 – 조인 대상 테이블을 기술하고 ,로 구분

where table1.column1 = table.column2; – =를 사용해 조인 조건 기술(기본 키와 외래 키에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칼럼)

select emp.deptno, emp.ename, emp.hiredate, dept.dname
from emp, dept
where emp.deptno = dept.deptno;

EQUI JOIN with AND

테이블을 조인할 경우 조인 뿐만 아니라 고려 대상인 행을 제한하기 위해 where 절에 조건을 추가해야 하는 경우가 있음

select emp.deptno, emp.ename, dept.dname
from emp, dept
where emp.deptno = dept.deptno and dname = 'SALES';

Alias Rules

  1. 테이블의 별명은 30자까지 가능하지만, 길지 않게 작성

  2. from 절에서 테이블명을 명시하고 공백을 둔 다음 테이블 별칭을 지정

  3. 하나의 sql명령문에서 테이블명과 별명을 혼용할 수 없음

  4. 테이블의 별칭은 해당 SQL 명령문 내에서만 유효함

select d.deptno, e.ename, d.dname
from emp e, dept d
where e.deptno = d.deptno;

JOIN ~ ON

임의의 조건을 지정하거나 조인할 칼럼을 지정하려면 ON절을 사용

조인 조건만을 ON절에 기술하고 다른 검색이나 필터 조건은 WHERE절에 분리해서 기술할 수 있음

syntax

select 테이블명.칼럼명, 테이블명.칼럼명, 테이블명.칼럼명

from 테이블명1 inner join 테이블명2

on 조건절;

select dpt.deptno, emp.ename, dpt.dname
from emp emp inner join dept dpt 
on emp.deptno = dpt.deptno;

EQUI JOIN Multiple Tables

여러개의 테이블을 동시에 조인하는 방법

-- 1. where 조건으로 연결
select stu.name studentname
     , pro.name professorname
     , dpt.dname subject
from student stu, professor pro, department dpt 
where stu.profno = pro.profno and stu.deptno1 = dpt.deptno;

-- 2. inner join으로 연결
select stu.name studentname
     , pro.name professorname
     , dpt.dname subject
from student stu inner join professor pro on stu.profno = pro.profno
                 inner join department dpt on stu.deptno1 = dpt.deptno;


NON-EQUI JOIN

EQUI JOIN Syntax

비등가 조인, 조인 조건에 특정 범위 내에 있는지를 조사하기 위해서 사용

▸ where절에 < 나 between a and b와 같은 =이 아닌 조건연산자를 사용

-- 고객명과 상품명, 마일리지를 출력
select cus.gname 고객명, gif.gname 상품명, to_char(cus.point, '999,999') 마일리지 
from customer cus, gift gif
where cus.point between gif.g_start and gif.g_end;

NON-EQUI JOIN Multiple Tables

3개의 테이블을 조인하는 방법

-- 1. 표준
select name 학생명, scr.total 점수, hak.grade 학점 
from student stu, score scr, hakjum hak
where stu.studno = scr.studno 
    and scr.total between hak.min_point and hak.max_point;

-- 2. ansi
select name 학생명, scr.total 점수, hak.grade 학점 
from student std inner join score scr on std.studno = scr.studno
                 inner join hakjum hak on scr.total between hak.min_point and hak.max_point;


SELF JOIN

self join은 주로 테이블에 Hierarchical structure가 있을 때 flat structure로 바꾸는 역할

▸ 한 테이블에서 두 개의 칼럼을 연결할 때 FROM 절에서 하나의 테이블에 테이블 별칭을 지정

참조하기


OUTER JOIN

EQUI JOIN에서 양측 칼럼 값 중의 하나가 NULL 이지만 조인 결과로 출력할 필요가 있는 경우 사용

▸ WHERE 절의 조인 조건에서는 OUTER JOIN 연산자인 + 기호를 사용, 조인 조건문에서 NULL이 출력되는 테이블의 칼럼에 + 기호를 추가

LEFT OUTER JOIN

syntax

– where 조건

select table1.column, table2.column

from table1, table2

where table1.column = table.column2(+);

– join on 절

select table1.column, table2.column

from table1 left outer join table2

on table1.column1 = table.column2;

 --left outer join, 학생에 배정받은 교수 없음
select std.name 학생이름, pro.name 교수이름
from student std, professor pro
where std.profno = pro.profno(+); -- left outer join, 오라클에서만 사용 

select std.name 학생이름, pro.name
from student std left outer join professor pro 
on std.profno = pro.profno; 

RIGHT OUTER JOIN

syntax

select table1.column, table2.column

from table1, table2

where table1.column1(+) = table.column2;

– join on 절

select table1.column, table2.column

from table1 right outer join table2

on table1.column1 = table.column2;

--right outer join, 교수에 배정받은 학생없음 
select std.name 학생이름, pro.name 교수이름
from student std, professor pro
where std.profno(+) = pro.profno; -- right outer join, 오라클에서만 사용 

select std.name 학생이름, pro.name
from student std right outer join professor pro 
on std.profno = pro.profno;

FULL JOIN

syntax

select table1.column, table2.column

from table1 full outer join table2

on table1.column1 = table.column2;

select std.name 학생이름, pro.name
from student std full outer join professor pro 
on std.profno = pro.profno; 


Example

ex01) student, department에서 학생이름, 학과번호, 1전공학과명출력

select student.name 학생이름
     , student.deptno1 학과번호
     , department.dname "1전공학과명"
from student, department
where student.deptno1 = department.deptno;

ex02) emp2, p_grade에서 현재 직급의 사원명, 직급, 현재연봉, 해당직급의 하한 상한금액 출력 (천단위 ,로 구분)

select emp2.name
     , emp2.position
     , emp2.pay
     , p_grade.s_pay
     , p_grade.e_pay
from emp2, p_grade
where emp2.position = p_grade.position;

ex03) emp2, p_grade에서 사원명, 나이, 직급, 예상직급(나이로 계산후 해당 나이의 직급), 나이는 오늘날자기준 trunc로 소수점이하 절삭

select emp2.name
    , trunc(trunc(months_between(sysdate, emp2.birthday), 0) / 12, 0) 나이
    , emp2.position 직급
    , p_grade.position 예상직급
from emp2, p_grade
where trunc(trunc(months_between(sysdate, emp2.birthday), 0) / 12, 0) between p_grade.s_age and p_grade.e_age
order by trunc(trunc(months_between(sysdate, emp2.birthday), 0) / 12, 0) desc;

ex04) customer, gift 고객들 중 낮은 포인트의 상품중에 Notebook을 선택할 수 있는 고객명, 포인트, 상품명을 출력

select customer.gname, customer.point, gift.gname
from customer, gift
where customer.point > 600000 
and customer.point > gift.g_start;

ex05) professor에서 교수번호, 교수명, 입사일, 자신보다 빠른 사람의 인원수 단, 입사일이 빠른 사람수를 오름차순으로

select p.profno 교수번호, p.name 교수명, p.hiredate 입사일, count(q.hiredate) 입사일빠른인원수
from professor p, professor q
where p.hiredate > q.hiredate
group by p.profno, p.name, p.hiredate
order by p.hiredate;

ex06) emp에서 사원번호, 사원명, 입사일 자신보다 먼저 입사한 인원수를 출력 단, 입사일이 빠른 사람수를 오름차순 정렬

select e.empno 사원번호, e.ename 사원명, e.hiredate 입사일, count(f.hiredate) 입사일빠른인원수
from emp e, emp f
where e.hiredate > f.hiredate
group by e.empno, e.ename, e.hiredate
order by e.hiredate;


이 웹사이트는 jekyll로 제작되었습니다. Patrick Marsceill, Distributed by an MIT licen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