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k Search Menu Expand Document

Database DBMS

Table of contents

  1. DBMS
  2. DMBS Essential capabilities
    1. 정의기능(DDL)
    2. 조작기능(DML)
    3. 제어기능(DCL)
  3. DBMS Types
    1. 계층형 DBMS
    2. 망형 DBMS
    3. 관계형 DMBS

DBMS

DataBase Management System,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데이터베이스를 효과적으로 관리해주는 시스템(프로그램)을 말함

데이터베이스의 생성, 접근방법, 처리절차, 보안, 물리적 구조등을 책임지며 대량의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검색, 활용하게 함

데이터 종속성 : 데이터와 응용 프로그램 간의 상호 의존 관계

데이터 중복성 : 동일한 내용의 파일이 여러개 생기는 것, 저장공간이 낭비되고 개별적으로 수정해야 해서 비효율적

따라서 여러명의 사람들이 데이터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와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이하 DBMS)이 도입

데이터베이스와 DBMS가 도입됨으로서 데이터의 공유가 가능해지고 중복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중복이 사라지니 데이터가 흠없이 정확한 무결성을 갖추고 일관성을 유지하기에 더 수월해졌습니다. 또한 데이터 접근 가능 여부에 인증과 인가를 도입해 보안성도 높일 수 있게 되었습니다.


DMBS Essential capabilities

DBMS라면 꼭 갖추어야 할 3가지필수 기능

정의기능(DDL)

DBMS에서 필요한 모든 데이터를 저장하는 통합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생성하거나 이미 생성된 구조를 삭제 또는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

조작기능(DML)

DBMS에서 데이터베이스 안에 저장된 데이터에 접근하여 원하는 데이터 조작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

사용자의 다양한 입력, 수정, 삭제 및 검색 요청을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기능

제어기능(DCL)

DBMS에서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다양한 목적으로 접근하더라도 항상 데이터를 정확하고 안전하게 유지하도록 통제하는 기능

사용자별 보안과 권한을 설정하고 데이터 조작 과정 중 높은 동시성과 무결성을 유지하면서도 유사시 백업을 통한 회복 조치가 가능한 기능


DBMS Types

계층형 DBMS

각 계층이 트리 형태 (초창기에 많이 사용)

한 번 구축 시 구조 변경 까다로움

접근의 유연성 부족, 임의 검색 시 어려움

망형 DBMS

포인터 사용으로 효과적이고 빠른 데이터 추출 가능 (포인터: 저장 주소 담고 있음)

매우 복잡한 내부 포인터 사용

but 모든 구조를 이해해야 프로그램 작성 가능

관계형 DMBS

키와 값들의 간단한 관계를 테이블 형태로 정리한 데이터베이스

유지, 보수 측면에서도 편리

대용량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관리가능

PK 사용으로 데이터 무결성 잘 보장됨

시스템 자원을 많이 차지해 시스템이 전반적으로 느려질 수도 있으나 요샌 HW 좋아져서 단점도 아님


이 웹사이트는 jekyll로 제작되었습니다. Patrick Marsceill, Distributed by an MIT license.